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성전자 10만전자 조건 HBM4 슈퍼사이클

by dotori-79 2025. 10. 16.

 

삼성전자 10만전자 조건 HBM4 슈퍼사이클
삼성전자 10만전자 조건 HBM4 슈퍼사이클

 

안녕하세요! 주식 시장에 훈풍이 솔솔 불어오는 2025년 가을이네요. 😊 다들 삼성전자 주주분들이라면 한 번쯤 꿈꿔보셨을 그 이름, '10만전자'! 정말 오랫동안 기다려온 순간인데요. 드디어 그 꿈이 현실이 될지도 모른다는 희망적인 소식들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고 있어요.

무려 7년 만에 찾아온 반도체 슈퍼사이클 초입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메모리 가격은 쭉쭉 오르고, 전 세계 고객사들의 주문은 밀려들고 있죠. 덕분에 삼성전자 주가도 최근 9만 원을 돌파하며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어요. 오늘은 과연 무엇이 삼성전자를 다시 한번 날아오르게 하는지, 정말 '10만전자'의 조건이 갖춰진 건지! 저와 함께 속 시원하게 파헤쳐 봐요.

HBM4, 삼성전자의 비장의 무기가 될까요?!

최근 몇 년간 AI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HBM(고대역폭메모리)이라는 이름,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간단히 말해 D램을 아파트처럼 수직으로 여러 개 쌓아서 데이터 처리 속도를 어마어마하게 높인 초고성능 메모리랍니다. AI의 심장인 GPU와 짝꿍처럼 붙어 다니는 핵심 부품이죠.

솔직히 그동안 HBM 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가 한발 앞서나가면서 삼성전자가 자존심을 많이 구겼던 게 사실이에요. 하지만!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열릴 차세대 HBM, 바로 HBM4 시대에는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HBM4 시대, 드디어 판이 뒤집히나?

엔비디아 같은 큰손들이 차세대 GPU '루빈(Rubin)'에 탑재할 HBM4에 대해 아주 까다로운 성능을 요구하고 있어요. "데이터 처리 속도를 기존보다 훨씬 높은 10~11Gbps까지 끌어올려달라!" 이런 요구가 바로 삼성전자에게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HBM4는 기존 HBM과 구조가 조금 다른데요, 가장 아래층에서 GPU와 연결되는 '베이스 다이'에 연산 기능까지 하는 '로직 공정'이 추가돼요. 이게 왜 중요하냐면, 이전까지는 단순 통로 역할만 하던 부품이 이제는 시스템 반도체의 기능까지 수행해야 한다는 뜻이거든요.

  • 삼성전자의 무기 1: 초미세 파운드리 공정
    • 삼성전자는 이 '로직 다이'를 자사의 최첨단 4나노(nm) 파운드리 공정으로 직접 만들 계획이에요. 반면 경쟁사인 SK하이닉스는 대만 TSMC의 12나노 공정을 이용할 예정입니다. 숫자가 낮을수록 더 미세하고 성능 좋은 공정인 건 다들 아시죠? 여기서부터 기술 격차가 벌어질 수 있어요.
  • 삼성전자의 무기 2: 최신 D램 기술력
    • HBM의 몸통을 이루는 '코어 다이' 역시 삼성전자는 경쟁사보다 앞선 6세대 1c D램을 사용합니다.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5세대 1b D램을 활용하는 것과 대조적이죠. D램은 세대가 높아질수록 성능과 전력 효율이 좋아지니, 당연히 삼성전자가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됩니다.

D램부터 파운드리까지, 삼성의 수직계열화가 빛을 발해요!

결국 HBM4 경쟁의 핵심은 '얼마나 뛰어난 로직 다이'와 '얼마나 성능 좋은 코어 다이'를 결합하느냐에 달렸어요. 그런데 삼성전자는 이 두 가지 핵심 부품을 모두 자체적으로, 그것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로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회사라는 점! 이것이 바로 '수직계열화'의 힘입니다.

엔비디아의 까다로운 맞춤형 주문에 가장 유연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셈이죠. 그동안 SK하이닉스에 밀렸던 설움을 HBM4로 한 방에 날려버릴 '권토중래'를 기대해 봐도 좋지 않을까요?!

꺼져가던 파운드리, 다시 불붙었어요! 🔥

사실 삼성전자의 아픈 손가락 중 하나가 바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이었어요. 세계 1위 TSMC의 아성을 넘지 못하고 만년 2위에 머물며 막대한 적자를 내기도 했죠. 하지만 AI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파운드리 사업부에도 드디어 서광이 비치고 있습니다.

빅테크의 러브콜, 이젠 삼성 차례?

최근 들려오는 소식들이 정말 놀라워요. 테슬라와 무려 22조 원 규모의 AI 칩 파운드리 계약을 맺은 데 이어, 애플의 이미지센서용 칩 수주까지 성공했다고 합니다. 이게 끝이 아니에요.

지난 10월 1일, 이재용 회장이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직접 만났다는 소식 들으셨죠?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하는 초대형 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삼성전자가 참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해요. 만약 오픈AI의 AI 칩 생산까지 맡게 된다면? 그야말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습니다. 테슬라, 애플, 오픈AI까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는 건 정말 의미심장한 신호예요.

역시 근본은 튼튼! 범용 D램의 화려한 귀환

HBM이나 파운드리 같은 화려한 기술도 중요하지만, 삼성전자의 진짜 힘은 뭐니 뭐니 해도 '범용 D램과 낸드플래시'라는 굳건한 반석 위에 있어요. 그리고 바로 이 시장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AI 기술은 데이터를 학습하는 단계를 넘어,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결과를 만들어내는 '추론' 단계로 넘어가고 있어요. 이 추론 과정에서는 학습보다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합니다. 자연스럽게 데이터센터와 서버에 들어가는 범용 D램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 거죠.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범용 D램인 DDR5 16Gb 제품의 현물 가격이 지난 9월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해요.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기 시작했다는 명백한 증거입니다. 전통의 강자인 삼성전자로서는 실적과 주가 모두에 강력한 순풍이 불어오는 셈이죠!

그래도 방심은 금물! 넘어야 할 산들

물론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에요. 냉정하게 짚어봐야 할 위험 요소들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JP모건 같은 일부 투자은행에서는 HBM4 시장에서도 여전히 SK하이닉스가 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어요.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퀄 인증)를 통과했다고는 하지만, 안정적인 수율을 확보하고 경쟁사와의 성능 격차를 증명하는 과정이 아직 남아있습니다.

더 무서운 건 중국의 추격이에요. 창신메모리(CXMT) 같은 중국 업체들이 우리 기업의 퇴직 인력들을 빼가는 방식으로 기술 격차를 무섭게 좁혀오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 결과에 따르면 범용 D램 기술 격차는 이제 1.5년, 낸드는 1년 이내로 좁혀졌다고 하니 정말 등골이 오싹해지는 이야기죠.

하지만 이런 도전 과제들에도 불구하고, HBM4에서의 기술적 우위, 파운드리 사업의 부활, 그리고 범용 메모리 슈퍼사이클이라는 3박자가 맞아떨어지고 있는 지금의 상황은 분명 삼성전자에게 수십 년 만에 찾아온 엄청난 기회임이 틀림없습니다. 과연 삼성전자가 이 기회를 발판 삼아 우리 모두의 염원인 '10만전자'를 넘어 '15만전자'까지 힘차게 날아오를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를 더욱 뜨겁게 응원해야겠어요